
메카만평

게임 전문지 외 언론에서 '게임’을 보도할 때 좋은 주제는 별로 본 적이 없는 것 같습니다. 중독, 폭력성 유발, 살인사건, 아이 방치, 학습 방해… 각종 사회적 문제가 생길 때마다 근거는 없지만 정부와 언론들은 일단 게임을 원인으로 꼽곤 했습니다. 얼마 전 강서구 PC방 살인사건의 원인 중 하나로도 게임을 꼽는 기사가 여럿 나왔었죠. 그러다 보니 이런 보도가 나올 때마다 게임업계는 '화들짝' 놀라게 됩니다.
그런 와중에 새해 벽두부터 또 ‘게임’이 언론에 오르내리자 게임업계 관계자들과 게이머들은 순간 '움찔' 했습니다. 이번에는 사회를 뜨겁게 달구는 ‘병역거부자’와 얽혔습니다. 지난 10일, 제주지법이 밝힌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병역기피 판단에 FPS 게임 가입 여부를 반영하겠다는 보도가 그것이었습니다.
역시나, 게임 관련 커뮤니티들에서는 이에 대해 우려하는 반응이 나왔습니다. 네티즌들은 “병역거부가 꼴보기 싫긴 하지만, 게임이랑 실총 잡는 건 별개로 봐야 되지 않나?”, “현실과 창작물은 전혀 다른 건데, 구분 좀”, “게임을 범죄의 한 잣대로 보는 건가” 같은 의견을 냈습니다. 과거 사례와 같이 검찰이 게임과 현실을 혼동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서 나온 목소리입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이번 사법부 결정이 합리적이라는 반응도 많았습니다. “이걸로 양심(없는) 병역거부자 싹 다 잡아넣을 수 있겠네”, “FPS뿐 아니라 액션게임 플레이 한 사람은 전부 잡아넣자”, “(방안 낸) 제주지법에 상 줘야 한다” 등이 대표적입니다. 사실 ‘양심적 병역거부자’에서 ‘양심적’이라는 단어를 빼라고 할 정도로 이들에 대한 국민 여론이 악화돼 있는 상황이라, 게임이건 뭐건 무조건 환영이라는 의견이 대세입니다.
실제로 여호와의 증인 신도들은 집총과 입영을 인정하지 않는 교리를 기반으로 징병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호와의 증인 교리를 보면 순수하고 올바른 행위가 아닌 것은 하지 말라는 성경 문구를 토대로 폭력적이거나 부도덕한 게임을 멀리하라고 합니다. 즉 교리를 삶의 일부로 여겨 병역을 거부할 정도인데, 비록 가상세계긴 하지만 적을 직접적으로 죽이는 슈팅 게임을 즐겨 했다면 말 그대로 ‘유리한 것만 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만,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이 남습니다. 이번에 검찰이 조회한 곳은 국내 업체 뿐입니다. 예를 들어 ‘배틀그라운드’를 즐길 경우 스팀은 걸리지 않고 카카오 유저만 걸리게 됩니다. 여기에 ‘배틀필드’, ‘콜 오브 듀티’, ‘포트나이트’ 등 외산 게임들도 전혀 확인이 불가능하기에 국내 게임을 즐긴 사람에 대한 역차별이 될 수 있습니다. 여기에 군인권위원회 측은 게임 가입여부 조사가 사생활 침해라는 문제제기도 했습니다.
게임 전문매제로서, 게임이라는 단어가 이제 그만 좋은 연관어와 엮였으면 하는 바람을 늘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병역거부’라는 단어는 그리 마음에 들진 않습니다. 비양심적 병역거부자를 걸러내는 데 도움은 되겠지만, 이번 조사를 계기로 ‘역시 게임은 폭력성 유발 매체’라는 얼토당토 않는 결론이 나올까 걱정도 됩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 우수 댓글 유저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일정
2025년
04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아무개안경2019-01-11 18:59
신고삭제의견이 갈리는 모양이네요.
미르후2019.01.11 18:54
신고삭제이것 봤다... 정말 가관이더라... 게임을 엮일려고 궁리만 찻고 있더라~~ 양심적 병역거부에서 교회에 다니는지,열렬한 기독교 신자인지, 꾸준하게 나가는지, 여기서 보다가 다음 말에 더 황당 게임을 집중적으로 보고 있다고...그말 듣고 진정 이 나라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 병역거부 그 사람 자체가 문제인데.. 왜 게임까지 같이 묶여서 규제의 빌미를 잡을려고 진짜 이나라 문제가... 이러니 김정주가 돈슨을 매각을 하는 것이지! 이럴빠엔 국내 3N다 매각 하거나 본사를 해외로 이전 하기를 권하는 바이다... 이나라가 미처 돌아 간다..
ps;병역거부 한 놈들 법으로 개정 해서 병역거부 못하게 해라..! 국가의 의무이고 나라를 지키는 것인데..
예전보다는 군대 많이 좋았젔는데.. 기가 차다 무조건 군대 보내게 해야 한다..
-2019.01.11 19:36
신고삭제당신의 편협한 인권관에 애도를표함
-2019.01.11 19:51
신고삭제징병제에 대체복무수단을 만드는건 글로벌스탠다드임, 이걸 국제사회는 지속적으로 요청했지만 한국은 몇십년간 ○었기 때문에 언젠가는 되야 할일이었음 문제는 조선군대 아무리 좋아졌다카지만 군인대우 개판인건 다를바 없기때문에 현역으로 갈사람,간사람 갔던사람의 상대적 박탈감은 클수밖에 없는거고, 그렇다면 국방부를 쪼아서 군인 대우를 상승시켜야지 개혁을 저지시키고 반동하는건 해결책이아님. 이미갔다와서 보상받을길이 없다고? 그럼 민주사회의 선배 시민으로써 후배들을 위해 길을닦아줬다고 생각하면 안됨? 그정도도 못할정도로 편협한가?
아무개안경2019.01.11 18:59
신고삭제의견이 갈리는 모양이네요.
아무개안경2019.01.11 19:35
신고삭제의견이 갈리는 문제이니 만큼 만평 내용도 찬성하는 쪽과 반대하는 쪽으로 나누는 내용이였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네요.
-2019.01.11 19:44
신고삭제문제의 핵심을 들여다보기는 두렵고 입다물기는 소재가 아까우니 비겁하게 방관하는것처럼보이네요
-2019.01.11 19:42
신고삭제고작 양심적 병역거부때문에 이제까지 게임과 실제 사상은 아무 관련없다고 그렇게 변호하던 게이머들이 앞장서서 그 연관성을 인정하고 검찰을 변호하고 있으니 기가 찰 노릇이다. 설사 여호와의 증인들이 폭력게임을 스스로 멀리한다 하더라도 그건 증인들에 국한되서 검증 가능한 부분일 뿐, 양심적 병역거부가 여호와의 증인만 있는것도 아니다 실제 군인 인권 증진에 현역군인혹은 예비역들보다 지대한 공헌을 하고있는 군인권센터의 임태훈 소장 또한 양심적병역 거부자(성소주자 인권관련)이며, 집총 거부를 하는사람들은 가지각색의 이유를 가지고 있다. 그런 내로남불이 게이머들이 특징이라면 그런 이들이 향유하는 게임이라는 문화도 존중할만한 가치가 없겠지, 여성부와 게등위가 모든것을 불태우길 바란다
-2019.01.11 19:44
신고삭제게이머들이 ->게이머들의
No742019.01.12 12:43
신고삭제팩트) 구글에 자동검색기는 자기가 검색한 것만 나온다.
겜덕2019.01.14 14:38
신고삭제의견이 갈린 것에 대해서 그럴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번 병역거부에 대해서 긍정적인 생각이 듭니다.
대략 총기관련 양심적 병역거부라는 것은 제가 알기로는 무엇인가 쏘는 것에 대한 두려움등등..심리적인 요소로
다가온다고 말하는데, 그런 사람이 총기가 나오는 게임에서 그런거 없이 한다는 것 자체가 그들이 말하는 논리에 대한 모순이죠. 그것을 정부에서 알아내고 잡아내겠다는 소리인데, 그점에서는 기발하고 좋다는 생각이 듭니다.
굳이 게임말고 다른걸 조사하면 되지않냐는 말도 있겠지만, 과연 우리나라에서 그런걸 조사할만한 곳이 있을까요?
이런점에서는 공감이 되겠지만, 기사에서 봤드시 매번 어떤일이 생길때마다 게임을 잡아내는건 아닌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살인사건도 범인이 문제지 그 게임이 문제인것은 아니라고 생각되며 그게 심리적으로 영향이 됬다고 항상 말하는데,툭까놓고 굳이 게임이 아니라도,공부를 하는 사람이 살인을 저질렀다면 공부를 규제해야된다는 논리가 되겠죠.
즉, 우리나라 교육과 사회환경에 대한 문제라 생각되는데, 왜 그들은 모를까?라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