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69개의 특집기사가 있습니다.
  • 꼬릴라는 초반 라인 정리와 생존력 강화를 위해 ‘고대유물 방패, 체력 물약’을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와드 토템’을 구매해 사용하다가 첫 마을 귀환에 되팔고 ‘탐지용 렌즈’로 바꿨다. 첫 완성 아이템으론 ‘기동력의 장화’와 ‘시야석’을 빠르게 조합했으며, 다른 라인의 아군을 돕고 맵 곳곳에 와드를 빠르게 설치하는데 힘썼다. 그 다음 아이템으론 ‘산악 방벽’을 추가했으며, 적에 주문 공격이 많은 점을 고려해 ‘강철의 솔라리 펜던트’와 ‘미카엘의 도가니’를 추가해 마법 저항력을 높였다.
    2015.04.10 16:00
  • 쿠로는 초반부터 마나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며 라인을 압박하기 위해 4레벨까지 ‘맹독 폭발(Q) -> 쌍독니(E) -> 쌍독니(E) 2레벨 -> 독기의 늪(W)’순으로 레벨을 올렸다. 그리고 3레벨부터 적극적으로 ‘맹독 폭발(Q)’과 ‘쌍독니(E)’를 활용해 적 챔피언에게 피해를 줬다. 후반부에는 주 공격 기술의 피해량을 높이기 위해 ‘쌍독니(E)’를 우선 마스터했으며, ‘맹독 폭발(Q)’을 그 다음으로 배웠다. 단, 궁극 기술인 ‘석화의 응시(R)’는 6, 11, 16레벨에 최우선으로 배웠다.
    2015.04.10 15:59
  • 리는 1레벨부터 ‘매복 덫(W)’을 정글 사냥을 할 곳에 미리 설치해둬 빠른 사냥을 취했다. 그리고 이후로는 3레벨부터 라인에 습격을 다니고, 카운터 정글을 다니기 위해 ‘창 투척(Q) -> 태고의 생명력(E)’ 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매복 덫(W)’으로 적의 위치를 확인한 뒤 ‘창 투척(Q)’을 활용해 적에게 높은 피해를 입혔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인 ‘창 투척(Q)’과 ‘태고의 생명력(E)’을 우선시 했으며, 궁극 기술인 ‘쿠거의 상(R)’은 6/11/16레벨을 달성할 때마다 바로 배웠다.
    2015.04.10 15:59
  • 스멥은 탑 라인에서 적을 꾸준히 견제하며 미니언을 빠르게 정리하기 위해 3레벨까지 ‘부메랑 던지기(Q) -> 슝슝(W) -> 폴짝(E)’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또한, 1레벨부터 꾸준히 '부메랑 던지기(Q)'를 활용해 적을 견제했으며, 2레벨 이후로는 기본 공격도 섞어서 사용했다. 기술 마스터 순서도 '부메랑 던지기(Q)'를 먼저 수행했으며, 그 다음으로 '슝슝(W)'을 선택했다. 단, 궁극 기술인 '나르!(R)'는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2015.04.10 15:57
  • 뱅은 라인을 스왑해 봇으로 내려온 적 챔피언을 초반부터 강하게 압박하기 위해 4레벨까지 ‘산성 추적탄(Q) -> 녹서스 부식성 수류탄(E) -> 산성 추적탄(Q) 2레벨 -> 공포 축전기(W)’ 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2레벨부터 적극적으로 ‘녹서스 부식성 수류탄(E)’과 ‘산성 추적탄(Q)’을 활용해 적을 견제했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 기술인 ‘산성 추적탄(Q)’을 우선시 했으며 그 다음으로 ‘공포 축전기(W)’를 배웠다. 단, 궁극 기술인 ‘초동역학 위치전환기(R)’는 6, 11, 16레벨에 바로 배웠다.
    2015.04.10 15:57
  • 페이커는 초반부터 마나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며 라인을 압박하기 위해 4레벨까지 ‘냉기 폭발(Q) -> 동상(E) -> 동상(E) 2레벨 -> 결정화(W)’순으로 레벨을 올렸다. 그리고 3레벨부터 적극적으로 ‘냉기 폭발(Q)’과 ‘동상(E)’을 연계해 적 챔피언에게 피해를 줬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주 공격기인 ‘동상(E)’과 ‘냉기 폭발(Q)’을 우선시 했으며, ‘결정화(W)’를 가장 마지막으로 배웠다. 단, 궁극 기술인 ‘얼음 폭풍(R)’은 6, 11, 16레벨에 최우선으로 배웠다.
    2015.04.10 15:57
  • 벵기는 정글 사냥에 필수인 ‘사냥꾼의 마체테’와 ‘체력 물약’을 시작 아이템으로 선택했다. 장신구는 ‘와드 토템’을 구매해 사용하다가 중반부에 되팔고 ‘탐지용 렌즈’로 바꿨으며, 9레벨을 달성하자마자 ‘예언자의 렌즈’로 업그레이드해 적군의 와드를 제거하는데 힘썼다. 첫 완성 아이템으론 ‘경비대의 길잡이: 잿불거인’을 최우선으로 맞췄고, 이후로는 ‘강철의 솔라리 펜던트, 란두인의 예언’ 등을 추가해 생존력을 높였다. 또한, 벵기는 꾸준히 ‘투명 감지 와드, 투명 와드’를 구매해 아군 라이너들의 부족한 와드 설치를 도왔으며, 중반부에는 ‘시야석’을 구매해 아군의 시야 장악에 힘을 보탰다.
    2015.04.10 15:56
  • 초반 라인을 스왑했기 때문에 마린은 아군 정글러와 함께 정글 몬스터를 사냥했다. 이 때문에 3레벨까지 ‘회오리 베기(Q) -> 파멸의 돌격(E) -> 공포의 망령(W)’순으로 기술을 배웠다. 그리고 라인에 복귀한 이후로는 적을 견제하기 보다는 ‘회오리 베기(Q)’와 ‘공포의 망령(W)’을 활용해 미니언을 정리하는데 집중했다. 기술 마스터 순서는 한타 싸움에서 다수의 적에게 큰 피해를 입히기 위해 ‘그림자의 맹습(R) -> 회오리 베기(Q) > 공포의 망령(W) > 파멸의 돌격(E)’ 순서로 수행했다.
    2015.04.10 14:48
  • 이번 시즌의 '리그 오브 레전드' 최고의 팀을 가리는 '롤드컵의 결승전이 10월 31일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다. 라이엇 게임즈는 4월 9일, '리그 오브 레전드'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롤드컵 2015'의 개최지 및 개최 일정을 공개했다. 이번 롤드컵은 유럽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2015.04.10 13:43
  • 지난 4월 1일(수), '08 유럽 대륙 최강전(이하 08유로)' 추가로 피파온라인3의 일반 시즌 카드는 총 10개가 되었다. 라이브 시즌(14시즌) 하나로 오픈 베타를 시작한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많은 카드가 게임에 업데이트된 셈이다.
    2015.04.09 21:06
  • 11일(토) Samsung Galaxy(이하 삼성)와 Najin e-mFire(이하 나진)의 '스베누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이하 롤챔스) 스프링 시즌' 2라운드 경기가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진행된다.
    2015.04.09 18:45
  • 11일(토) SK Telecom T1(이하 SKT)와 GE Tigers(이하 GE)의 '스베누 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이하 롤챔스) 스프링 시즌' 2라운드 경기가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진행된다.
    2015.04.09 14:28
  • 초가스는 육식(패시브)으로 체력과 마나 수급이 수월한 챔피언이다. 지정한 범위의 적을 에어본 시킬 수 있는 파열(Q)과 침묵 효과를 주는 흉포한 울부짖음(W)의 군중제어기 연계가 초가스의 장점이며, 포식(R)을 통해 순간 적인 대미지딜링도 가능하다. 하지만 파열(R)의 시전 시간이 긴 것이 단점이므로 이를 사용할 때는 아군의 군중제어기와 연계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015.04.09 14:15
  • 야스오는 적과 교전 시 사전작업이 필요한 챔피언이다. 이런 점 때문에 초보자가 쓰기엔 어렵다. 우선 야스오는 ‘강철 폭풍(Q)’을 미니언 또는 챔피언에게 맞출 시 ‘폭풍 구름’을 1중첩 쌓을 수 있다.
    2015.04.09 14:07
  • 애쉬는 적을 느리게 만드는 기술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추격형 원거리 딜러다.
    2015.04.09 13:57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