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산업

크래프톤 AI 중심 기업 전환 발표, 1,000억 원 투자

/ 1
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825 View 게임메카 내부 클릭수에 게임메카 뉴스를 송고 받는 제휴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크래프톤 공식 CI 이미지 (자료제공: 크래프톤)
▲ 크래프톤 공식 CI 이미지 (자료제공: 크래프톤)

크래프톤이 'AI 중심'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크래프톤은 23일 사내 소통 프로그램인 '크래프톤 라이브 토크(KRAFTON LIVE TALK)'에서 'AI 퍼스트(AI First) 기업으로의 전환: 일과 회사, 개인의 미래'를 주제로 중장기 비전과 로드맵을 공유했다.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는 "오늘을 기점으로 크래프톤은 '에이전틱 AI(Agentic AI)'를 중심으로 업무를 자동화해 구성원은 창작 활동과 복잡한 문제 해결에 집중하는 AI 중심 경영 체계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AI를 통해 구성원의 성장을 촉진하고 조직의 도전 영역을 넓히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AI 중심'은 AI를 문제 해결의 중심이자 최우선 수단으로 삼는다. 이는 개인과 조직의 변화를 촉진하고, 전사 생산성을 높여 중장기 기업가치 성장을 가속화하는 전략이다. 크래프톤은 '에이전틱 AI'를 바탕으로 개인의 역할과 조직의 도전 범위를 확장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크래프톤은 약 1,000억 원을 투자해 GPU 클러스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이 인프라는 정교한 추론과 반복 계획이 필요한 다단계 과제를 지원하며, '에이전틱 AI' 구현을 가속하는 기반이 된다. 크래프톤은 해당 인프라를 통해 AI 워크플로우 자동화뿐 아니라 AI 연구개발(R&D), 인게임 AI 서비스 강화를 추진한다. 2026년 하반기까지 AI 플랫폼과 데이터 통합 및 자동화 기반을 완성한다. AI 연동 워크플로우와 '에이전틱 AI' 관리 플랫폼, 데이터 표준화 체계를 포함한 전사 AI 운영 인프라를 확립할 예정이다.

크래프톤은 2026년부터 매년 약 300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구성원들이 여러 AI 툴을 직접 활용하고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AI 서비스 지원 규모의 10배 이상이다. 전사적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한 실질적 조치이다.

'AI 중심'의 전사 내재화를 위해 인사(HR) 제도와 조직 운영 체계도 개편한다. 관련 제도와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기존 정책도 AI 중심으로 재정비한다. 실행 전략은 ▲ AI 중심 문화 정착 ▲ 업무 방식 및 조직 혁신 ▲ 새로운 도전 및 성장 기회 제공의 세 가지 축으로 시행한다.

김창한 대표는 "크래프톤은 AI 중심 전략을 통해 구성원 개개인의 성장 기회를 넓혀 이용자 경험 중심의 창작 시도를 확대한다. 게임 산업 전반의 AI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며 "AI 중심으로 일하는 운영 기준을 정립해 글로벌 게임 산업에서 참고할 수 있는 모범사례를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