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NXC 지분이 세 번째로 매각 대상으로 나왔다. NXC 전체 지분의 30.6%에 해당하는 85만1968주로, 약 4조 7,000억 원 규모다. 이에 어떤 업체가 입찰에 나설 지에 업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NXC 지분 30.6% 전량을 매각한다고 공고했다. 해당 지분은 고(故) 김정주 전 회장의 배우자인 유정현 의장과 두 자녀가 2023년 상속세로 물납한 물량이다. 정부는 이번 매각으로 약 4조7000억 원의 세외수입을 기대하고 있다. NXC의 순자산가치에 20%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반영한 수치다.
다만, NXC는 비상장사며 아직 유정현 의장과 두 자녀가 절반 이상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에 해당 물량을 전량 확보한다고 해서 경영권 확보로 이어지진 않는다. 따라서 경영권 확보를 위해서는 4조 7,000억원이라는 대규모 자금 조달 후에도 추가 지분 확보가 필요하기에, 최소 7~8조원의 자금이 필요하다.
이에 앞서 넥슨 인수설이 제기된 텐센트를 비롯해, 4조 원 이상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을 가지고 있는 크래프톤 등이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다만 텐센트의 경우 얼마 전 제기된 넥슨 인수설 보도 당시 이를 공식적으로 부정한 바 있다. 엔씨소프트나 넷마블, 카카오 등도 과거 넥슨 인수설 당시 후보로 지목된 바 있으나, 현재로서는 독자적으로 인수에 참가할 만큼의 단기 자금 조달이 어렵다는 평가다.
이번 NXC 지분 매각과 관련한 입찰 마감은 8월 25일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메카 취재팀장을 맡고 있습니다jong31@gamemeca.com 
	
- 팰월드 저격 실패, 닌텐도 ‘몬스터 포획’ 특허권 기각
 - 단간론파 느낌, 마법소녀의 마녀재판 제작진 신작 공개
 - GTA 느낌, 저스트 코즈 개발자의 오픈월드 신작 공개
 - 연말연시 목표, 테라리아에 공식 한국어 자막이 추가된다
 - [기자수첩] 엔씨소프트의 ‘내로남불’ 저작권 인식
 - 채널당 수용 인원 1,000명으로, 메이플랜드 2.0 만든다
 - 플레이어언노운 신작 ‘고 웨이백’, 11월 20일 출시
 - ‘쌀먹세’ 생기나? 국세청 아이템 거래 업종코드 신설한다
 - 함장 중심으로 전개, 카제나 메인 스토리 전면 개편한다
 - [오늘의 스팀] 한·중·일 지역 추가된 크킹 3, 관심 급증
 
게임일정
	2025년
				11월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