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CPU 시장이 마침내 `쿼드코어` 시대로 접어들었다.
11일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는 온라인 시장에서 쿼드코어 CPU가 듀얼코어 CPU의 점유율을 추월했다고 밝히며 CPU 시장에 세대교체가 일어났다고 전했다. 실제로 작년 하반기까지 30% 후반 대에 머물렀던 쿼드코어 CPU의 판매량 점유율은 올해 1월 43.7%까지 상승, 2월에는 46%까지 치솟으며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았다.
▲ CPU 코어 별 판매량 점유율
쿼드코어의 점유율 상승을 견인한 것은 인텔의 `린필드`와 AMD의 `데네브` 다. `코어 i5 760`을 위시한 린필드 계열 CPU와 데네브의 `페넘II-X4 955` 등은 작년 말부터 CPU 시장의 베스트 셀러로 자리잡으며 쿼드코어 CPU의 판매량을 끌어올렸다. 스타2, 테라 등 고 사양 콘텐트들이 잇달아 등장한 것도 이러한 수요를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올해 출시 된 2세대 코어 `샌디브릿지`도 한 몫 했다. 쿼드코어CPU의 수요를 끌어올리던 샌디브릿지는 칩셋결함으로 한차례 진통을 겪었지만 이달 오류가 수정된 메인보드가 출시되며 다시 궤도에 오른 상태다. 헥사코어의 성장세도 두드러진다. 작년 9월 3%대 점유율을 형성했던 헥사코어 제품의 점유율은 2월 6%로 두배 가량 상승했다. AMD의 `투반` 등이 저렴한 가격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하반기엔 옥타코어의 성장세도 기대할 만 하다. AMD의 기대작 `불도저`가 옥타코어 제품인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다나와 PC부품 담당인 김주원CM은 "멀티태스킹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코어 수를 늘린 제품의 판매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불도저 등 옥타코어 제품이 기대를 받고 있는 상황이지만, 당분간은 메인 스트림급 제품의 가격까지 떨어진 쿼드코어가 시장에서 대세로 자리잡을 듯 하다." 라고 말했다.
- 팰월드 저격 실패, 닌텐도 ‘몬스터 포획’ 특허권 기각
- 단간론파 느낌, 마법소녀의 마녀재판 제작진 신작 공개
- GTA 느낌, 저스트 코즈 개발자의 오픈월드 신작 공개
- 연말연시 목표, 테라리아에 공식 한국어 자막이 추가된다
- [기자수첩] 엔씨소프트의 ‘내로남불’ 저작권 인식
- 채널당 수용 인원 1,000명으로, 메이플랜드 2.0 만든다
- 함장 중심으로 전개, 카제나 메인 스토리 전면 개편한다
- 플레이어언노운 신작 ‘고 웨이백’, 11월 20일 출시
- ‘쌀먹세’ 생기나? 국세청 아이템 거래 업종코드 신설한다
- 프로그래밍 언어 입력해 조작, 스크립스: 아레나 출시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