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메카 / 제휴처 통합 30,960 View
게임메카 내부 클릭수에 게임메카 뉴스를 송고 받는 제휴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SNS 통합 6,046 View
게임메카 트위터(@game_meca)와 페이스북(@게임메카)의 노출수를 더한 값입니다.


구글이 게이머를 위한 구국의 결단을 내렸습니다. 눈엣가시 같았던 모바일게임 인앱 전면 광고를 허용하지 않겠다고 한 것이죠.
이는 지난 27일, 구글이 발표한 새로운 개발자 프로그램 정책을 통해 공개됐습니다. 내용에 따르면, 9월 30일부터는 모바일게임 내에서 갑작스레 등장하는 전면 광고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아울러 15초가 지난 후에도 닫을 수 없는 전면 광고 또한 금지됩니다. 이 정책은 플레이어가 추가 보상을 받기 위해서 스스로 시청하는 광고나, 게임 결과 출력 이후 나오는 등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 정책의 특징은 기업이나 개발자가 아닌 사용자 중심이라는 점입니다. 생각해보면 당연합니다. 결국 구글 수익은 게이머들에게서 나오는 것이니까요. 물론 개발사와 유통사, 광고 업체도 생태계 구성원이니 그들의 수익도 보장해줄 필요는 있습니다. 하지만 허락없는 인게임 전면 광고 등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많았고, 구글이 이를 수용한 것이라 볼 수 있겠네요.
국내 게이머들도 구글의 이번 결단을 굉장히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게임메카 ID 아이쿠루 님 "갑툭튀 광고는 없는 게 낫긴 하네요", 진지보이 님 "진짜 이해할 수 없는 인앱 광고는 Out", 악마이 님 "솔직히 좀 심하긴 했지" 등의 의견이 그것이죠. TBZ 님 "참 빨리도 한다"는 댓글처럼 늦은 감도 있지만, 갑자기 출력되는 전면 광고에 많은 사람들이 거부감을 갖고 있었던 만큼 이제라도 이런 정책이 나와서 다행이라는 반응이 대다수입니다.
이 밖에도 구글은 정기 결제 관리, 취소, 환불 관련 정책을 비롯해, 아동 보호용 개발 키트 배포, 사회 문화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수익을 창출하거나 이를 다루는 앱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구글의 역대 정책을 보면 부정적 사례가 더 눈에 띄긴 하지만, 이번만큼은 사용자 중심의 정책,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한 것이 확실해 보입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런 기조를 유지하면 더할나위 없이 좋겠네요.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게임메카 계정)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 아이쿠루 님 (증정상품: 스랄: 위상들의 황혼/크리스티 골든 지음, 김지현 옮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메카에서 모바일게임과 e스포츠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밤새도록 게임만 하는 동생에게 잔소리하던 제가 정신 차려보니 게임기자가 돼 있습니다. 한없이 유쾌한 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담백하고 깊이 있는 기사를 남기고 싶습니다.bigpie1919@gamemeca.com
에 달린 기사 '댓글 개' 입니다.
- [오늘의 스팀] '여자일 리 없는' 브리짓, 스팀 판매 1위 등극
- '포켓몬 빵'처럼, 우마무스메 씰 20종 들어간 센베 나온다
- 똥손 기자의 도전, 타워 오브 판타지에서 원신 호두 만들기
- [순정남] 이렇게 귀여운 애가 여자일 리 없잖아! TOP 5
- [기자수첩] '밸브는 대체 왜 이럴까?'에 대한 답을 찾았다
- 4년 만의 쾌거, ‘무릎’ 배재민 EVO 2022 철권 7 우승
- 이제 스팀에서도 스위치 조이콘 사용 가능해진다
- [겜ㅊㅊ] 우마무스메가 취향이라면, 모바일 육성게임 4선
- 오버워치 프로팀, 선수와 협의 없이 트위터로 계약종료 공지
- 적반하장 데스티니 핵 제작자 “번지가 우리 저작권 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