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e스포츠

5전 전승, SKT T1 스타 2 프로리그 1라운드 결승 직행

/ 1

▲ SKT T1 단체사진 (사진제공: 한국e스포츠협회)

SK텔레콤 스타 2 프로리그 2016 시즌(이하 프로리그) 1라운드 5주차 경기가 8일 마무리되었다. 이번 주차에 SKT T1은 CJ 엔투스에 승리해 1라운드 5전 전승을 기록하며 결승전에 직행했다.

7일 첫 경기에서는 삼성 갤럭시가 아프리카 프릭스를 3:0으로 꺾으며 포스트시즌 진출 확률을 높였다. 강민수(삼성)는 살모사의 기생 폭탄을 활용해 이원표(아프리카)의 뮤탈리스크를 줄여줬으며, 지상과 공중 병력에서 우위를 보여줬다. 

이어서 김기현(삼성)은 김도경(아프리카)을 상대로 지속적인 의료선과 해방선 견제를 보여주었고, 백동준(삼성)은 서성민(아프리카)의 본진에 불멸자 드랍에 성공해 자신의 앞마당으로 들어온 병력 수비 후 역습을 통해 경기를 마무리했다.

두 번째 경기에서는 KT 롤스타가 MVP 치킨마루를 접전 끝에 3:2로 누르며 1라운드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했다. KT는 앞 경기에 배치된 주성욱과 이동녕이 현성민과 고병재(이상 MVP)에 패배하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하지만 전태양(KT)이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전태양(KT)은 김동원(MVP)과의 치열한 난전을 펼친 결과, 한 수 위 운영을 보여주며 1승을 거뒀다. 이후 에이스 결정전에 출전한 주성욱(KT)이 고병재(MVP)를 제압하며,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에 마침표를 찍었다.

8일에는 SKT T1이 CJ 엔투스에 3:1로 승리하며, 1라운드 5전 전승으로 결승에 직행했다. SKT T1은 박령우와 어윤수(이상 SKT)는 한지원과 신희범(이상 CJ)을 상대로 저그 동족전에서 연달아 승리하며 2:0으로 앞써나갔다. 여기에 게임3을 내주기는 했지만 이신형(SKT)이 게임4에서 이재선(CJ)을 잡으며, 팀의 프로리그 5전 전승을 만들어냈다. 여기에 이신형 본인 역시 이번 시즌 5연승을 이어갔다.

이어서 진에어 그린윙스는 삼성 갤럭시를 3:0으로 제압하면서 3위로 올라섰다. 조성주와 김도욱(이상 진에어)은 병력에서 우위를 점하며 승리를 거뒀다. 이어 프로리그에서 다소 부진하던 김유진(진에어)은 제공권을 장악하며 서태희(삼성)를 잡아내면서, 중요한 경기에서 제 실력을 발휘하였다. 이날 승리로 진에어는 1라운드 포스트시즌의 진출 가능성을 살렸다. 반면, 삼성은 1세트만 따내면 포스트시즌에 자력 진출할 수 있었으나, 이에 실패하면서 다른 팀들의 6주차 경기 결과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을 맞이했다.

SK텔레콤 스타 2 프로리그는 '스타 2: 공허의 유산'으로 진행되며 매주 월, 화 저녁 6시부터 서울 서초구 서초동 ‘넥슨 아레나’에서 열린다. 1라운드 5주차 주간 MVP 투표는 스타 2 프로리그 페이스북(바로가기)을 통해 오는 11일 오후 2시까지 진행된다.

프로리그는 게임 채널 스포TV 게임즈(IPTV-KT Olleh TV 124번, SK B TV 262번, LG U+ 109번, 케이블-CJ헬로비전 122번, C&M 607번, 티브로드 129번)에서 생중계된다. 

인터넷에서는 e스포츠 전문 온라인 채널 eSportsTV(바로가기), 네이버 스포츠(바로가기), 유튜브(바로가기), 아주부 TV(바로가기)에서 시청할 수 있다. 더불어 영어로는 아주부 TV(바로가기), 트위치 TV(바로가기)를 통해 방송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플랫폼
PC
장르
RTS
제작사
블리자드
게임소개
'스타크래프트 2' 3부작 중 세 번째 타이틀인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은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이후의 시나리오를 다룬다.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심장'은 제라툴과 프로토스의 이야기에 초점... 자세히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4
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