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이구동성

[이구동성] 고였던 게임 규제가 흐르기 시작했다

/ 1

메카만평

지난 31일, 각종 규제로 꽉 막혀있던 국내 게임업계에 좋은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예전부터 답답한 부분으로 지적됐던 '기종별 심의'가 사라진 것이지요. 기존에는 같은 게임이라도 다른 플랫폼에 게임을 내면 기종마다 각각 심의를 받아야 했는데, 내년 1월부터는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심의를 한 번만 받으면, 다시 심의할 필요 없이 여러 기종에 게임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올해 풀린 게임 규제가 '기종별 심의 폐지'만은 아닙니다. 지난 5월에는 온라인게임 결제한도가 폐지됐고 9월에는 비영리게임에 대한 심의 규정도 사라졌습니다. 오래 고여 있던 규제가 조금씩 풀리며 게임업계에도 새로운 물길이 열리는 분위기입니다.

게임메카 독자 분들도 답답했던 규제가 조금씩 풀려가는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게임메카 ID 아이쿠루 님은 "진작 했어야 했지만 늦게라도 하니 다행이다"라며 지금이라도 다소 불합리하게 느껴졌던 기종별 심의가 없어져서 다행이라는 의견을 냈고, 페이스북 ID 최탤 님 역시 "이게 맞지"라며 규제 개선에 동감하다고 전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 심의 중에서 가장 이해 안 되는 것 중 하나였는데 드디어 고쳐지는구나", "그동안 (기종별 심의가) 따로였다는 것이 놀랍다. 지금이라도 바뀌어서 다행이다"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업계 입장에서도 오래 고인 문제를 하나씩 풀어가는 정부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규제가 하나씩 해소되고 있다는 것 자체도 좋지만, 오랜 기간 규제에 무게를 두고 있던 게임 정책이 진흥으로 방향을 틀고 있음을 체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셧다운제부터 시작해 게임 질병코드 추진까지 업계는 여러 곳에서 두들겨 맞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올해도 아쉬운 부분이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변화를 실김할만한 제도 개선이 이어지며 굽었던 어깨도 조금씩 펴지는 분위기입니다. 

이와 함께 생각해볼 부분은 업계가 느끼는 답답하고, 낡은 규제가 모두 해결된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규제라 할 수 있는 셧다운제도 아직 남아 있고, 빠르게 변화하는 업계 흐름에 관련 제도가 속도를 맞추지 못하는 지점도 있습니다. 지금 멈추는 것이 아니라 올해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고여 있는 정책을 흐르게 할 물꼬를 더 많이 뚫어나가는 것이 관건이라 생각합니다. 지금을 발판 삼아 앞으로도 업계를 춤추게 할 실질적인 정책 개선이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은 회원정보에 기재된 e메일로 발송되는 당첨 안내 메일로 주소 및 연락처를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우수 댓글 유저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 우수 댓글 유저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이재오 기자 기사 제보
댓글 6 (댓글을 달면 1포션이 지급됩니다)

멜렌도르프2019-11-02 17:12

신고삭제

댓글만 보면, 게임규제안 발의되기 전에는 한국 게임이 고티 매년 쓸어담는 갓겜만 만드는 시장인줄 알겟누. 현실은 규제전에 인기겜 : 아이온,리니지,와우,서든어택 ㅅㄱ

애니뷰윗치2019.11.01 18:20

신고삭제

근데 너무 늦지 않았나..아니 첨부터 쓸모없는 규제를 안했다면..
따지면 지금의중국게임 한국이 한창 셧다운제다 중독법이다해서
중국으로 넘어간 제작자들의노하우가 전수되어 역수입되고
있는거 아닙니까?

소여2019.11.01 19:40

신고삭제

이미 한국 게임산업은 거의 다 죽었지...

너의기억2019.11.02 10:59

신고삭제

결제한도 패지는 왜?

미르후2019.11.02 11:12

신고삭제

진짜 병주고 약주고 이러다가 또 병 줄것 같은데 ㅋㅋ

멜렌도르프2019.11.02 17:12

신고삭제

댓글만 보면, 게임규제안 발의되기 전에는 한국 게임이 고티 매년 쓸어담는 갓겜만 만드는 시장인줄 알겟누. 현실은 규제전에 인기겜 : 아이온,리니지,와우,서든어택 ㅅㄱ

노잼마스터2019.11.04 12:14

신고삭제

댓글에 잘 모르는 사람이 있는 듯 해서 설명충 등판하자면,
국내 내수용으로 성공한 게임들이 리니지, 아이온 기타등등들이고
해외에서만 성공질주한 게임들이 수두룩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르의전설이나 크로스파이어 등등이다.
이젠 안하는게 아니라, 시장과 시장의 악의적인 시선, 규제들 덕분에 안하는거라고 본다.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