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6일, 엔데믹 크리에이션이 자사가 개발한 ‘전염병 주식회사’ 출시 10주년을 맞이해 그동안 진행됐던 유저들의 플레이를 모은 통계를 공개했다.
출시 10주년을 기념해 공개된 통계에 따르면, 가장 인기 있었던 전염병 이름은 현재도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다. 이어서 2위는 죽음, 3위는 똥(Poop)이며, 이 밖에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의 T 바이러스, 미국 전 대통령이었던 트럼프, 틱톡, 포트나이트 등이 순위권에 올랐다.
여기에 유저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스타트 국가는 중국이며, 반대로 가장 적게 선택한 스타트 국가는 핀란드다. 이 말고 플레이어들이 가장 많이 썼던 전염병은 박테리아로, 이어서 곰팡이는 2위, 바이러스는 3위, 프리온은 4위, 생물 무기가 5위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지금까지 1억 1,800만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전염병 주식회사를 거쳐 갔다. 플레이된 횟수만 41억 회를 넘었고, 2,500경 이상의 사람들이 게임 내에서 감염됐다. 반면, 추가 확장팩이었던 ‘더 큐어’에서는 약 1,780억 개의 백신이 공급됐다.
한편, 2012년 5월에 출시된 전염병 주식회사는 치사율이 높은 질병을 제작해 팬데믹을 일으켜 인류를 멸망에 몰아넣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전염병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등장해 많은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PC로도 이식됐다. 코로나19가 글로벌로 확장되던 2020년 11월에는 본편과 정반대로 전염병을 막고 세계를 지키는 더 큐어 모드가 추가됐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낭비 없이 낭만을 만들 수 없습니다. 현실에서도 게임에서도 저의 시간을 낭비하면서 낭만을 좇는 기사를 쓰겠습니다.ryupark9@gamemeca.com
- 엔씨 명운 달린 아이온 2, 그 뒤에 펼쳐진 우려의 그림자
- 개발자 번아웃, 발라트로 1.1 업데이트 무기한 연기
- 앞서 해보기였던 팰월드, 2026년 정식 출시 예고
- [이구동성] 게임시장 1위 미국의 '게임 죽이기'
- 놀러와요 메타몽의 숲? 포켓몬 신작 ‘포코피아' 발표
- '제작진 신작 아닌 시리즈 신작' 단간론파 2X2, 내년 출시
- 실크송으로 연기됐던 '숲속의 작은 마녀' 마침내 정식 출시
- 주요 게임사 출전 줄고 규모 감소, 지스타 흥행 '적신호'
- [오늘의 스팀] 국산 신작 ‘셰이프 오브 드림즈’ 글로벌 화제
- [순위분석] 2편은커녕 3편에도 밀린 디아블로 4
게임일정
2025년
09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