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이구동성

[이구동성] 닌텐도의 뒤통수 3콤보

/ 1
이구동성 류종화 기자

메카만평
메카만평

[관련기사]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닌텐도, 특히 국내 지사인 한국닌텐도 이미지는 그리 나쁘지만은 않았습니다. 완벽하진 않았지만, 국가코드라는 장벽 속에서도 본체와 주요 인기 타이틀은 꾸준히 한국어화를 진행했거든요. 비록 Wii U 발매 불발이라는 이슈가 터졌지만, 기기 자체가 워낙 흥행에 실패했기에 반발이 크진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스위치 정식발매를 전후로, 국내 유저들 사이에서 닌텐도에 대한 실망 기류가 흐르고 있습니다. 발매 전부터 본체 언어 비한국어화 문제가 불거졌고, 곧이어 한국 계정 닌텐도 e숍 접속 불가 사태로 홍역을 겪었습니다. 여기에 얼마 전 국내 정식 발매된 ‘젤다의 전설: 브레스 오브 더 와일드’ 카트리지에 유럽 버전 스티커가 붙어 있는 사실이 드러나 또 한 차례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게임메카에서 알아본 바에 의하면 ‘젤다의 전설’ 뿐 아니라 국내 정식 발매된 다른 스위치 타이틀 카트리지에서도 해외 코드가 붙어 있는 사례가 여럿 발견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카트리지 재활용이 아닌가 하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죠.

일부 국내 유저들은 한 번도 아니고 세 번 연속 이런 사태가 일어난 것에 대해 닌텐도 본사의 ‘한국 홀대론’이 아닌가 의심하고 있습니다. 구글 ID 히데요시 님 "이건 뭐 한국 사람들 사지 말라는 소리나 다를 바가 없어 보이는데", 네이버 ID 종다리 님 "소니는 적극적인 한글화로 찬양 받고 있는데, 어쩌다 닌코는 저지경이 된걸까. 초반에 적극적이던 한글화 의지는?" 처럼 닌텐도의 국내 사업 의지를 의심하는 댓글이 홍수를 이룹니다.

한편, 주요 게임만 한국어로 잘 즐길 수 있으면 상관없지 않느냐는 의견도 있습니다. 게임메카 SNS 댓글을 보면 "재밌게 하고있으니 상관 없음", "한글화 정발만 해준다면야 문제도 없고, 별로 신경도 안 씀", "그래봐야 할 사람들은 알아서 다 삼"과 같은 댓글도 다수 보입니다. 특히 ‘젤다의 전설’ 같은 경우엔 스위치 초기 런칭 타이틀 목록에서 빠져 있다가 뒤늦게나마 한국어화가 결정된 타이틀이라, 발매만으로도 감지덕지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사실 이런 의견들도 일리가 있습니다. 위 문제들은 게임을 즐기는 데는 큰 문제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사태들은 한국닌텐도, 나아가 닌텐도 본사에 대한 신뢰 문제와 직결돼 있습니다. 콘솔 사업에서는 좋은 게임기와 타이틀도 중요하지만, 회사에 대한 고객 신뢰 역시 그에 못지 않다는 점을 명심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구동성]에 인용된 유저댓글 중 매주 한 분씩을 추첨해 제우미디어의 게임소설(리퍼 서적)을 보내드립니다. 선정된 유저분께서는 '게임메카 회원정보'에 기재된 주소 및 연락처를 배송 가능한 곳으로 수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이번 주 우수 댓글은 없습니다


▲ 매주 우수 댓글 유저 1분에게 증정되는 제우미디어 게임소설

(리퍼 서적은 출간 후 일정 기간이 지나 출판사로 돌아온 제품으로, 새 책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댓글 7 (댓글을 달면 1포션이 지급됩니다)

Tomato-G2018-02-11 14:14

신고삭제

사실 게임플레이에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니 큰 문제는 아닙니다만, 그래도 감정적으로 상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한국 시장이 돈이 안되서 '쩌리'취급을 하는 건데 이런 취급을 하면서 시장이 저절로 확대되어 쩌리에서 벗어날거라 생각할 순 없지 않겠습니까? 결국 닌텐도 경영진은 인접국인 한국에 발배 안하기도 뭣하고 수익이 잘 나지도 않으니 일종의 계륵으로 치부하고 처지곤란한 물량이나 대신 처리해주는 시장으로 굴리고 있다는건데, 자본주의 체제에서 이해가 가는 일이긴 하지만 이런 대우를 받으면서 기분이 좋다면 그건 자존심이 없다는 거죠...

3만원2018.02.10 00:52

신고삭제

굳은 수요층이 있으니 갑질도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노동법에 어긋나도 일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노동자들 처럼 말이죠...

후스2018.02.10 14:37

신고삭제

진여신4 몬헌4 파엠 한글정발했을때 팍팍 사줬으면 이런일 없었을듯.... 에코즈는 한정판이 아직도 용산 닌텐도스토어에 진열되어있는 것도 모자라 인방 격투겜 대회 상품으로 걸리는거 보고 경악했음. if때와는 달리 일어 보이스로 넣어줬건만.

힐에블2018.02.10 20:20

신고삭제

저도 닌텐도 주요(아마도) 수요층 일것입니다. DS 시절부터 지금까지 닌텐도를 즐겼다 말할수 있을테니까요.
다만, 여태까지의 한닌이 잘못한점이라면 카트리지 가격은 둘째치고 게임자체를 한국에 발매를 잘 안한다는점입니다. 이건 삼다수라 불린시절은 더 그랬죠.
그런데 지금 한닌의 적자가 흑자로 돌이키는 이 중요한 순간에 구매자릐 뒷통수를 잘도 치는군요. 말이 안 험해질수 없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 원했던 수많은 타이틀이 번역 발매가 안돼 포기하는건 그 빌어먹을 복돌의 문제라 친다하더라도 한닌은 이렇게 판매를 했으면 안됐습니다.
약 7개월이나 늦은 젤다의 한국 발매. 카트리지안의 설정을 바꾸는 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는 몰라도 케이스 안에 카트리지를 넣는 도중 스티커 하나 더 붙여줄 생각을 안했다는것이 괘씸하다 생각됩니다.

케이츠2018.02.11 02:42

신고삭제

젤다의 전설이 아무리 재밌어도 할게 없는 것도 아닌데 굳이 저런태도를 보이는 닌텐도 게임을 할 필요는 없지않나 싶네요

ddsst2018.02.11 09:55

신고삭제

닌텐도? 이제는 포기했다. 닌텐도는 포켓몬이외에는 그다지 특별하지않다. 차라리 다른 게임사를 빌어볼 수 밖에

Tomato-G2018.02.11 14:14

신고삭제

사실 게임플레이에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니 큰 문제는 아닙니다만, 그래도 감정적으로 상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한국 시장이 돈이 안되서 '쩌리'취급을 하는 건데 이런 취급을 하면서 시장이 저절로 확대되어 쩌리에서 벗어날거라 생각할 순 없지 않겠습니까? 결국 닌텐도 경영진은 인접국인 한국에 발배 안하기도 뭣하고 수익이 잘 나지도 않으니 일종의 계륵으로 치부하고 처지곤란한 물량이나 대신 처리해주는 시장으로 굴리고 있다는건데, 자본주의 체제에서 이해가 가는 일이긴 하지만 이런 대우를 받으면서 기분이 좋다면 그건 자존심이 없다는 거죠...

미르후2018.02.12 16:36

신고삭제

닌텐도 거를때가 된것이지 ㅋㅋㅋㅋ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