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8일, 용산 e스포츠 상설경기장에서 열린 WCG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한국대표선발전 결승전 1세트에서 삼성 블루는 CJ 엔투스 블레이즈를 상대로 압승을 거두며 1승을 기록했다.
그라가스, 이즈리얼 등 포킹에 강한 챔피언에 대비해 돌진형 조합을 구축한 삼성 블루는 상대의 실수를 기회 삼아 초중반 라인전에서 격차를 크게 벌리며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라인스왑으로 봇 듀오와 탑이 서로 라인을 바꾼 CJ 블레이즈를 상대로 삼성 블루는 라인스왑 없이 쉔과 앨리스가 이즈리얼, 애니 조합을 상대하고 잭스를 코르키와 자이라, 봇 듀오가 마크하는 방향을 선택했다. 양 팀 간의 균형이 확 깨진 타이밍은 '앰비션' 강찬용이 봇 듀오 로밍에서 별 소득 없이 돌아온 시기다.
그라가스가 없는 사이 '폰' 허원석의 리븐은 CS 차이를 벌릴 수 있는 여유를 얻었다. 여기에 강찬용의 점멸 실수가 바로 그라가스의 죽음으로 이어지며 경기 주도권이 삼성 블루 쪽으로 넘어갔다. 여기에 삼성 블루는 첫 드래곤을 깔끔하게 가져기고, 탑 1차 타워를 철거하는데 성공하여 글로벌 골드 차이를 2300 가량 크게 벌렸다.
이후 교전에서도 삼성 블루는 봇 라인과 미드 라인에서 3킬을 추가로 기록하며 킬 스코어를 4:1로 크게 벌렸다. 봇 지억에서 앨리스의 고치를 피하지 못한 이즈리얼이 상대의 지속적인 추격에 잡히고, 이에 덩달아 애니도 공격을 견디지 못하고 쓰러졌다. 특히 삼성 블루의 '천주' 최천주는 적절한 궁극기 사용 타이밍으로 교전에 제 때 참여하며 승리에 기여했다.
여기에 '폰' 허원석의 리븐이 다시 한 번 '앰비션' 강찬용의 그라가스를 잡아내고, 탑 라이너 잭스 마저 쓰러뜨라며 삼성 블루는 킬 스코어 격차를 더욱 더 크게 벌려 나갔다. 여기에 잭스를 잡음과 동시에 탑 1차 타워를 가져가며 타워 철거 상황에서도 우위를 점하기 시작했다. 상승세에 오른 블루는 다시 한 번 드래곤을 가져가며 스노우볼을 깔끔하게 굴려나갔다.
그러나 CJ 엔투스 블레이즈의 반격 역시 만만치 않았다. 탑 2차 타워마저 내준 CJ 엔투스 블레이즈는 상대가 소강기를 가지며 잠시 숨을 고르는 동안 상대의 빈틈을 노리는 매서운 공격으로 킬 스코어 격차를 좁히며 상대를 강하게 압박했다. 여기에 봇 라인 1차 타워를 미는데 성공하며 한숨돌릴 여유를 얻었다.
하지만 CJ 엔투스 블레이즈의 버티기 플레이는 대세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특히 잘 성장한 쉔과 리븐, 강력한 탑-미드 조합을 억제할 방법을 찾아내지 못했다. 이를 바탕으로 삼성 블루는 중후반 교전에서 CJ 엔투스 블레이즈를 다시 한 반 압도하고, 탑 내각 타워와 억제기, 쌍둥이 타워와 넥서스를 단번에 파괴하며 1승을 따냈다.

- 존 윅 공식 게임, 17일부터 모든 플랫폼에서 판매 중단
- 마비노기 모바일 홈페이지에 정체불명 팝업이 띄워졌다
- 어쩌다 카드사가 스팀 성인게임을 심의하게 되었나?
- 다크 소울 3 리마스터? 프롬 신작 'FMC' 제작 중
- [오늘의 스팀] 출시 전부터 이목 집중, 명나라 소울라이크
- 카드사 심의 결과? 스팀서 '야겜' 100여개 일괄 삭제
- 마법소녀들의 단간론파, '마법소녀의 마녀재판' 출시
- 드디어, '사펑' 나이트 시티에 자율주행이 상용화됐다
- [순위분석] 마비노기, 온라인은 '방긋' 모바일은 '우울'
- [오늘의 스팀] 10주년 DLC가 아크: 서바이벌을 망쳤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