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테마 > 이슈 이사람

모바일 AOS 난투, 한타부터 손맛까지 ‘롤’ 재미 모두 담았다

/ 1

▲ 쿤룬코리아 모바일사업을 총괄하는 라이언 옌 부사장

모바일게임 시장의 주류인 액션과 RPG는 이미 과포화 상태로, 이를 대체할 새로운 장르 개척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결과로 가장 주목받는 분야가 바로 모바일 AOS다. 이 장르 자체가 이미 온라인게임의 대세로 입증이 된 상태이며, 더군다나 모바일에서는 뚜렷한 성공작이 없어 선점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콘트롤과 전략이 핵심인 AOS를 자동화에 익숙한 모바일로 옮기는 것이 생각만큼 쉬운 일은 아니다.

실제로 3대 3 실시간 전투를 표방한 ‘베인글로리’부터 귀엽고 캐주얼한 면을 강조한 ‘플랜츠워2’, 횡스크롤로 전투를 벌이는 ‘배틀리그’, 액션을 강조한 ‘전투의 신’ 등 각기 다른 콘셉으로 승부를 걸었던 모바일 AOS 작품들이 뚜렸한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

이런 시장 상황 속에 중국에서 매출 2위에 오르며, 모바일 AOS로 성공한 게임이 국내에 출시될 예정이어서 관심을 받고 있다. 출시를 앞두고 있는 신작 ‘난투’다. 쿤룬코리아 모바일사업을 총괄하는 라이언 옌 부사장은 “최근 추세를 보면 자동전투 위주의 게임들이 대부분인데, 하지만 자동전투만으로는 게임의 타격감과 대전의 재미를 제대로 느끼기 어렵다”며 “‘리그 오브 레전드’와 같은 게임이 모바일에도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그래서 ‘난투’를 한국 시장에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난투’는 RPG와 AOS를 결합해, 다른 게임에서 부족하게 느껴졌던 ‘손맛’을 보충한 게임”이라고 강조했다.

‘난투’는 ‘리그 오브 레전드’처럼 상대의 본진을 파괴하면 승리하는 AOS 방식이다. 여기에 포탑이나 미니언, 중립 몬스터와 같은 요소도 갖추고 있다. 다른 점은 PC와 다른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하기 위해 포탑의 수를 줄이고 맵의 길이를 짧게 하는 등 간소화했다는 점이다. 여기에 상대 진영으로 진입하는 라인 수도 맵에 따라 1~2개 정도다. 

이렇게 간소화했음에도 불구하고 PC에서 즐겼던 AOS 특유의 재미는 모두 구현했다. 라이언 옌 부사장은 “’난투’에서도 ‘리그 오브 레전드’를 하면서 느꼈던 승리의 재미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며 “전술과 콘트롤, 경험치 경쟁, 그리고 치열한 ’한타’ 싸움의 묘미까지 다양한 것을 경험할 수 있다”이라고 설명했다.


▲ '난투'의 AOS 대전 모습 (자료제공: 쿤룬코리아)

다만, AOS 장르는 다른 유저와 실시간으로 실력을 겨루는 장르인 만큼, 타 장르에 비해 진입 장벽이 높다. 매칭을 위한 인원 수가 확보되어야 하고, 여기에 국내 유저들이 PC가 아닌 모바일에서 즐기는 AOS에 익숙하지 않다는 않다는 점도 문제다. 라이언 옌 부사장은 “모바일은 다수의 유저가 동시에 접속해 대전을 펼치기 적합한 환경이 아닌 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해 대전 콘텐츠를 1 대 1로 구성했다”며 “여기에 혼자서도 AOS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1명이 캐릭터 3개로 전투를 벌이는 방식을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난투’의 AOS 대전은 RPG 콘텐츠인 ‘모험’ 모드에서 육성한 캐릭터 3개로 자신만의 파티를 구성한 뒤, 다른 유저와 겨루는 방식이다. 유저는 자신의 파티에 소속된 3개 캐릭터를 번갈아 조작할 수 있으며, 콘트롤하지 않는 나머지 캐릭터 2는 AI(인공지능)로 진행된다. 여기에 터치 위주였던 기존 AOS와 달리 세밀한 조작이 가능한 D패드 방식을 채택해 부드러우면서 정교한 콘트롤이 가능하도록 구현했다. 

더불어 생소한 모바일 AOS의 조작은 유저들에게 익숙한 모바일 RPG로 풀어냈다. ’모험’ 모드에서는 다른 모바일 RPG와 마찬가지로 스테이지를 진행하며 영웅을 수집하고 육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테이지는 적을 피해 도망가거나 몰려오는 적을 막아 거점을 지키고 특정 사물을 피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유저들이 진행하면서 AOS 대전에서 필요한 콘트롤을 습득할 수 있다. 여기에 AOS 콘텐츠를 소개하는 튜토리얼을 더해 학습효과를 늘렸다.


▲ 회오리를 피하는 스테이지 (자료제공: 쿤룬코리아)
 
쿤룬코리아는 한국 유저들에게 친숙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현지화 작업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라이언 옌 부사장은 “한국 유저들의 성향에 맞춰 영웅 모델링이나 일러스트, UI까지 모두 새로 제작했다. 여기에 한국형 영웅이나 경복궁을 테마로 한 건물을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뿐만 아니라 번역에 있어서도 한국 유저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이’와 ‘공력단’ 같은 다소 어려운 용어를 각각 ‘장비계승’과 ‘경험석’으로 변경하는 등의 현지화 작업을 진행했다.




▲ 중국어(상)과 한국어(하) 버전 게임 스크린샷 (사진제공: 쿤룬코리아)

라이언 옌 부사장은 “’난투’가 ‘with Naver’로 출시되는 4번째 게임인 만큼, 네이버와 협력해 TV, 지하철, 영화관. 포탈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대규모 마케팅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한국 시장에서 매출 순위 5위 내에 진입하는 것이 목표다. ‘난투’가 중국에서 매출 2위를 기록했고, 대만을 포함한 중화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만큼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4
06